noname02
매우 간단.JAVA의 super와 같다.자식 클래스의 변수가 부모 클래스와 같으면, 자식 클래스의 변수가 부모 클래스의 변수를 가리게 되는데 이 때 super 키워드를 사용하면 부모 클래스의 변수를 뜻하게 된다. 굳이 변수가 아니어도 super라는 키워드 자체가 부모 클래스를 가리킨다는 키워드이다.
코루틴(Coroutine)이 뭔가요? C 언어등에서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함수는 시작할 때 진입하는 지점이 하나 존재하고 함수가 모두 실행되거나, return 구문에 의해서 종료되는 지점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. 이러한 함수를 서브루틴(Subroutine)이라 부르는데, 코루틴은 이를 더 일반화한 개념으로 진입하는 지점까지 여러 개를 가질 수 있는 함수를 의미합니다. 개념적으로만 본다면 서브루틴도 코루틴의 한 종류라고 볼 수 있겠지요. 코루틴이 왜 필요한가요? 코루틴이 없어도 게임을 만드는데 지장은 없습니다. 하지만 유니티에서 코루틴을 잘 활용하면 높은 성능을 내는 스크립팅의 제작이 가능해지고, 읽기 쉬운 코드를 만들 수 있게 됩니다. 코루틴은 어떻게 사용하나요? C# 언어를 기준으로, 코루틴은 언제나 아래..
out과 ref 키워드는 매개변수의 값을 참조하게 한다.C와 C++에서 포인터를 생각하면 된다. 혹은 C++에서 &연산자를 생각하면 된다.객체는 어차피 항상 참조형이므로 굳이 사용할 필요는 없다. out과 ref는 매개변수에 키워드를 적어줘야 한다.정의할 때에는 당연히 12public void Method(ref int a) { ... } ;public void Method(out int a) { ... } ;cs 의 형태로 정의를 하며, 이 함수를 호출할 때에는 12Method(ref a);Method(out a);cs 의 형태로 ref, out을 명시해줘야 한다. ref와 out의 차이점이라고 한다면, ref는 매개변수를 전달할 때 해당 변수가 꼭 초기화가 되어있어야 된다는 것이다. 1234int a..
드래그 하고 난 뒤 Ctrl + K + F!